컴퓨터에서 실시간 방송을 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이번에는 컴퓨터로 24시간 음악방송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유튜브 계정 만들기 및 인증
계정준비
먼저 유튜브에서 실시간 방송을 하려면 당연히 유튜브 계정이 필요합니다. 아마 대부분은 가지고 있겠지만 혹시 아직 계정이 없다면 유튜브에서 쉽게 계정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스트리밍 활성화
계정을 만들었으면 그 다음으로 해야 할 일이 실시간 스트리밍 기능을 하용하기 위해 활성화를 시켜야 합니다. 만약 처음 계정을 만드신 거라면 24시간 정도의 대기 시간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유튜브를 계속 이용하셨던 분들은 실시간 스트리밍을 클릭하시면 바로 됩니다.
2. 스트리밍 프로그램 설치
OBS STUDIO 프로그램 설치
컴퓨터로 유튜브 실시간 방송을 하기 위해서는 화면을 캡쳐하거나 송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OBS프로그램은 오픈소스 프로그램이라서 무료로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만 진행하면 됩니다.
3. OBS 설정
OBS에서 화면 추가
OBS STUDIO를 실행한 후 방송 화면에 송출할 이미지를 설정하기 위해서 장면을 추가해야 합니다. 미리 준비한 이미지를 OBS 실행창 하단의 장면 박스에서 + 버튼을 누르거나 우클릭을 하면 나오는 메뉴에서 추가하기를 이용해 추가해 줍니다.
화면캡처 소스추가
장면이 설정되면 방송할 화면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설정해 줍니다. 소스 칸에서 + 버튼을 누른 후 설정을 하면 되는데 이미지를 설정하면 됩니다. 혹은 실시간 화면을 송출하고 싶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캡쳐"는 전체 화면을 송출 "윈도우 캡쳐"는 특정 창만 송출 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스트림 키 복사
유튜브를 실행시킨 후 우측 상단의 "만들기"를 선택하시면 메뉴중에 "라이브 스트리밍 시작" 을 누르면 유튜브 스튜디오가 실행됩니다. 여기서 스트림 선택 후 스트림 키 목록의 복사하기를 눌러서 복사를 합니다.
OBS STUDIO에서 스트림 키 저장
OBS STUDIO로 돌아와 "설정"을 누른 후 "스트림" 을 찾아서 이동합니다. 서비스 옵션에서 "유튜브"를 선택하고 스트림키 입력 창에 복사한 스트림 키를 입력합니다.
실시간 방송 시작
OBS에 방송시작
OSB STUDIO의 우측 하단 첫 번째 메뉴인 방송 시작을 눌러 주세요. 선택한 화면이 방송에 송출되기 시작합니다. 만약에 음악 방송을 하신다면, 마이크 볼륨은 최소로 줄여주시고, 데스크탑 오디오를 최대한으로 높여 주세요. 개인 방송을 하신다면 데스크탑 오디오 볼륨과 마이크 볼륨을 적절히 조절해 주시면 됩니다.
유튜브에서 확인
이제 실시간 방송이 잘 되고 있는지는 유튜브 스튜디오로 들어가면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누구나 쉽게 방송을 진행하시면 되고, 방송의 제목, 설명, 태그 등은 필요할 때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