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당뇨 치료 방법
당뇨 치료 방법은 굉장히 쉽습니다. 그리고 또한 어렵습니다. 먼저 현대인의 당뇨에 대한 치료 방법은 식이 요법, 운동 요법, 약물 요법으로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약물 요법은 인슐린 주사, 당뇨약 등이 있습니다.
당뇨 치료가 쉽다고 말씀드린 이유는 운동 요법 때문입니다. 운동만 지속적으로 잘 해줘도 당뇨는 생각보다 쉽게 치료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당뇨병 예방에도 굉장히 탁월합니다. 당뇨 치료 방법을 먼저 단 한마디로 정리하면, 몸 안의 영양소를 쓸 수 밖에 없는 환경으로 만들어주면 걸리지도 않고, 걸렸더라도 치료도 굉장히 쉽다는 이야기 입니다. 단, 이 이야기는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2형 당뇨병을 이야기 합니다.
당뇨병에 완치는 없다
현대인들의 대표적인 성인병 중 하나면서 너무 쉽고 흔하게 찾아 볼 수 있는 환자가 바로 당뇨병 환자입니다. 그리고 이런 당뇨병 환자 중 아주 극소수인 거의 대부분이 선천적(유전적)요인인 인슐린 부족, 혹은 인슐린이 없는 1형 당뇨를 제외하고, 당뇨병 환자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2형 당뇨 환자들의 발생 원인을 이야기 할 때, 서구화된 생활습관, 혹은 서구화된 식습관 때문이라고 이야기 합니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그냥 단적으로 책임 회피의 대표적인 이야기입니다. " 당뇨병에 완치는 없다. ", " 당뇨병은 약을 먹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한다. " 들어 보셨을 겁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당뇨약, 혹은 당뇨치료제라고 이야기합니다. 치료제는 말 그대로 어떤 질병, 질환을 치료하는 것입니다. 당뇨병 치료제, 당뇨 약은 당뇨라는 병의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당뇨병의 증상을 치료합니다. 그렇기에 평생 먹어야 한다고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서구화된 식습관, 서구화된 생활패턴이 문제다. 이런 이야기는 왜 나왔을까요?
당뇨병의 원인 과다한 영양소 섭취?
식습관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를 이야기 하는 것은 너무 당연하고 기본적인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발달한 현대 문명과 생활 패턴 (여기서 이야기 하는 내용은 몸을 쓰는 일보다 머리를 쓰는 일이 많고, 영양소를 균형지게 먹고 싶은 거 마음껏 먹는) 이 두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기는 게 당뇨병입니다. "서구화된" 이라는 웃기지도 않는 단어는 사람을 현혹시키려는 말 장난일 뿐입니다. 이 병에 걸리는 원인은 당신에게 있다는 책임 전가의 말 장난 입니다. 서구화된 어쩌고 저쩌고는 그냥 간단하게 "당신이 잘못해서 생기는 병이다" 라는 책임 전가 입니다. 여기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에 따로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식이요법 이야기입니다. 먹는 음식을 당을 줄이고 조절하는 방법. 여기에서 의문점 하나 제시해 보겠습니다. 오래된 이야기도 아닙니다. 멀리도 아닌 우리 한국에서 "조선 시대 밥 그릇" 검색해 보기 바랍니다. 이 시대에는 현대의 우리가 한 끼에 한 공지 밥을 먹을 때 평균 4공기를 먹었습니다. 다른 열량 칼로리 따질 필요 없이 탄수화물을 한 끼에 4배 이상, 거기에 현대인들은 두 끼로 줄었으니 (현대인 하루 2공기 : 조선 시대 하루 12공기)를 먹었습니다. 탄수화물(포도당) 섭취량이 지금보다 6배 이상이었지만 당뇨병은 현대 시대에 갈수록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너무 많이 먹어서 질병이 당뇨병이다라는 전제 자체가 의미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당뇨병을 치료하는 현실적인 방법
당뇨병을 치료하는 현실적인 방법은 여기에서 알 수 잇습니다. 간단하게 사람의 생존 방법을 보겠습니다.
- 에너지 공급을 위해 영양소 섭취
- 필요한 에너지만큼 영양소 공급
- 남는 영양소를 저장
- 영양소 공급이 없이 에너지가 소모될 때 저장 영양소 사용
현실적인 당뇨 치료를 혈관 개선 방법
- 당뇨약과 치료제는 원인 치료가 아닌 증상 치료 입니다.
- 당뇨약과 치료제는 평생 먹어야 합니다.
- 당뇨를 치료하려면 인슐린이 일을 해야 합니다.
- 인슐린이 일을 하려면 온 몸(세포)에서 에너지를 요구해야 합니다.
- 에너지가 필요하게 하려면 일을 시켜야 합니다.
- 전신 운동을 하거나 운동 효과를 낼 수 있게 해야 합니다.
- 운동이 어려우면 고주파 자극기를 추천합니다.
댓글
댓글 쓰기